제네시스 (우주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네시스''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디스커버리 계획의 일환으로, 태양풍의 동위원소 이온을 수집하여 분석하기 위해 설계된 우주선이다. 2001년 발사되어 지구-태양 라그랑주 점(L1)에서 태양풍 입자를 수집했으며, 2004년 샘플 반환 캡슐이 지구 대기권에 재진입했으나 낙하산 미작동으로 지면에 추락했다. 캡슐은 손상되었지만 샘플은 회수되어 분석되었으며, 태양의 산소, 질소 동위원소 조성을 밝히는 데 기여했다. 사고 조사 결과 낙하산 작동용 가속도 센서의 설계 오류가 원인으로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사주 궤도를 이용하는 우주선 - 플랑크 (인공위성)
유럽 우주국이 발사한 플랑크는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을 관측하는 우주 망원경으로, 고해상도 검출, 은하단 목록 작성, 중력 렌즈 효과 관측 등 다양한 과학적 목표를 달성하며 우주론적 매개변수 측정에 기여했다. - 리사주 궤도를 이용하는 우주선 - 창어 2호
창어 2호는 중국 달 탐사 프로젝트 2단계의 무인 탐사선으로, 고해상도 이미지와 과학 데이터 획득을 목표로 성능이 개선되었으며 달 궤도 탐사 후 지구-태양 L2 라그랑주 점 탐사 및 소행성 근접 비행 등 심우주 탐사 임무를 수행했다. - 2001년 발사한 우주선 - 2001 마스 오디세이
2001 마스 오디세이는 화성 표면의 원소, 물, 광물 분포 및 방사선 환경을 조사하고 다른 화성 탐사 임무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NASA의 화성 궤도 탐사선이다. - 2001년 발사한 우주선 - 퀵버드
퀵버드는 디지털글로브가 운영한 고해상도 지구 관측 위성으로, 2001년 발사된 퀵버드 2호기는 0.61m 흑백 및 2.4m 다중 분광 해상도의 이미지를 제공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었고 구글 어스 배경 이미지로도 사용되었다. - 태양 탐사선 - 율리시스 (우주선)
유럽우주국이 설계하고 도르니어 시스템즈가 제작한 율리시스는 태양 극지방 관측을 목적으로 1990년에 발사되어 목성의 스윙바이 기동을 통해 태양 극궤도에 진입, 1994년부터 2008년까지 태양풍, 자기장, 우주선 등 다양한 우주 현상을 관측하고 여러 혜성의 꼬리를 통과하며 자료를 확보, 태양 극지방 자기장 변화, 심우주 먼지 양, 감마선 폭발 위치 측정 등에 기여한 후 18년간의 임무를 마치고 2009년 운용이 종료되었다. - 태양 탐사선 - 파커 태양 탐사선
파커 태양 탐사선은 NASA의 태양 탐사선으로, 태양 대기 및 태양풍 연구를 위해 2018년 발사되었으며, 금성 중력 보조를 통해 태양에 접근하여 태양 코로나 가열, 태양풍 기원 연구 등을 수행한다.
제네시스 (우주선) | |
---|---|
개요 | |
![]() | |
임무 유형 | 샘플-반환 미션 |
운영자 | 미국 항공우주국제트 추진 연구소 |
COSPAR ID | 2001-034A |
SATCAT | 26884 |
웹사이트 | http://genesismission.jpl.nasa.gov/ |
임무 기간 | 2001년 8월 8일 16:13:40 - 2004년 9월 8일 15:58 (3년, 1개월) |
이동 거리 | 해당 없음 |
제작 정보 | |
제조사 | 록히드 마틴 우주 시스템 |
발사 질량 | 636 kg |
건조 질량 | 494 kg |
크기 | 2.3m x 2.0m |
전력 | 254 W (태양 전지판 / 전지) |
발사 정보 | |
발사 날짜 | 2001년 8월 8일, 16:13:40 UTC |
발사 로켓 | 델타 II 7326-9.5 (D287) |
발사 장소 | 케이프 커내버럴 SLC-17A |
발사 계약자 | 보잉 |
착륙 정보 | |
착륙 날짜 | 2004년 9월 8일, 15:58 UTC |
착륙 장소 | 더그웨이 실험장, 유타주 |
임무 배지 | |
![]() | |
프로그램 정보 | |
프로그램 | 디스커버리 프로그램 |
이전 미션 | 스타더스트 |
다음 미션 | CONTOUR |
2. 임무 목표
제네시스 임무의 주요 과학적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9]
- 행성 과학 문제를 해결하기에 충분한 정밀도를 가진 데이터가 본질적으로 없으므로, 태양풍의 동위원소 이온의 정확한 동위원소 풍부도를 얻는 것.
- 문헌에 있는 것보다 3~10배 정확도로 크게 향상된 태양 원소 풍부도를 얻는 것.
- 달 샘플과 유사하게 보관될 21세기 과학을 위한 태양 물질 저장소를 제공하는 것.
따라서 임무 과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네시스'' 우주선은 태양풍 이온을 수집하여 분석을 위해 지구로 반환하도록 설계되었다.[10] ''제네시스''는 여러 가지 태양풍 수집기를 탑재했는데, 이들은 모두 수동적으로 태양풍을 수집했다. 즉, 수집기는 태양을 향해 우주에 있었고, 태양풍의 이온은 200km/s 이상의 속도로 충돌하여 수집기 표면에 묻혔다.
대부분의 ''제네시스'' 수집기는 우주선이 마주치는 모든 태양풍("벌크 태양풍")을 지속적으로 샘플링했다. 그러나 우주선은 또한 탑재된 전자 및 이온 모니터에 의해 결정되는 태양풍의 특정 "영역"(빠른, 느린, 코로나 질량 방출)이 발생했을 때 배치되는 세 개의 수집기 배열을 탑재했다.[12] 이러한 배치 가능한 수집기 배열은 암석을 형성하는 원소가 태양풍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대적 비율을 유지한다는 가설을 시험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제네시스''에는 세 번째 유형의 수집기, 즉 농축기가 있었다. 이 농축기는 벌크 태양풍을 수집했지만, 정전기적으로 수소를 반발하고, 가벼운 태양풍 원소를 작은 표면에 집중시키는 충분한 전압을 가지고 있어, 해당 이온을 약 20배 농축시켰다는 점에서 차별적이었다. 농축기의 목표는 분석가가 가벼운 화학 원소의 동위원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향상된 양의 태양풍 이온을 가진 샘플을 가져오는 것이었다.[13][14]
3. 운용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2001년 8월 8일 16시 13분 40초(UTC)에 케이프 커내버럴에서 델타 II 7326 로켓으로 제네시스를 발사했다.[17] 발사 후 제네시스는 지구-태양 라그랑주 점(L1)까지 이동하여 2001년 11월 16일에 L1 주위의 타원 궤도에 진입했다.[17] 2001년 12월 3일부터 2004년 4월 1일까지 850일 동안 태양풍 입자를 수집했으며, 이 기간 동안 우주선은 L1 주변에서 5개의 헤일로 궤도를 돌았다.[17] 수집된 샘플을 보관한 샘플 반환 캡슐은 2004년 9월 8일 지구 대기권에 재진입했다.[18]
탐사선의 궤도는 다음과 같다.
날짜 (미국 시간) | 사건 |
---|---|
2001년 8월 8일 |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에서 델타 II로 발사 |
2001년 12월 3일 ~ 2004년 4월 1일 | 태양과 지구 사이의 라그랑주 점(L1)에 머물면서 태양풍 채취 |
2004년 9월 8일 | 지구 재접근, 샘플 회수 캡슐 방출 (캡슐은 낙하산이 펴지지 않아 지면에 격돌) |
2005년 2월 1일 | L1 부근의 태양 주회 궤도에서 대기 상태 |
제네시스는 여러 종류의 태양풍 수집기를 탑재했는데, 이들은 모두 수동적으로 태양풍을 수집했다. 즉, 수집기는 태양을 향해 우주에 있었고, 태양풍의 이온은 200km/s 이상의 속도로 충돌하여 수집기 표면에 묻혔다.[10] 대부분의 제네시스 수집기는 우주선이 마주치는 모든 태양풍("벌크 태양풍")을 지속적으로 샘플링했다. 그러나 우주선은 탑재된 전자 및 이온 모니터에 의해 결정되는 태양풍의 특정 "영역"(빠른, 느린, 코로나 질량 방출)이 발생했을 때 배치되는 세 개의 수집기 배열도 탑재했다.[12] 제네시스에는 세 번째 유형의 수집기인 농축기도 있었는데, 이 농축기는 벌크 태양풍을 수집했지만, 정전기적으로 수소를 반발하고, 가벼운 태양풍 원소를 작은 표면에 집중시키는 충분한 전압을 가지고 있어, 해당 이온을 약 20배 농축시켰다는 점에서 차별적이었다.[13][14]
수집 단계가 완료된 후, 수집기 배열은 샘플 반환 캡슐에 보관되었고 우주선은 지구로 귀환했다. 캡슐이 지구에 접근하여 재진입 초기 단계에 접어들었을 때 모든 것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처럼 보였다.
캡슐 회수를 위해 광범위한 계획이 수립되었다. 일반적인 낙하산 착륙은 섬세한 샘플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임무 설계는 샘플 반환 캡슐의 공중 회수를 요구했다. 지상 약 33km 지점에서 드로그 낙하산을 펼쳐 하강 속도를 늦추도록 했다. 그런 다음 6.7km 고도에서 대형 파라포일을 펼쳐 하강 속도를 더욱 늦추고 캡슐을 안정적인 비행 상태로 유지하도록 했다. 그 후 두 번째 헬리콥터를 백업으로 한 헬리콥터가 5미터 갈고리 끝에 달린 낙하산으로 캡슐을 잡으려고 시도할 예정이었다. 회수되면 캡슐은 연착륙했을 것이다.
샘플 반환 캡슐은 2004년 9월 8일 16:55 UTC에 약 11.04km/s의 속도로 미국 북부 오리건주 상공에서 지구 대기권에 진입했다.[18] 감속 센서의 설계 결함으로 인해 낙하산 전개는 전혀 작동하지 않았고, 우주선의 하강은 자체적인 공기 저항에 의해서만 늦춰졌다.[19] 계획된 공중 회수는 수행될 수 없었고, 캡슐은 약 86m/s의 속도로 유타주 투엘 카운티의 듀그웨이 시험장 사막 바닥에 추락했다. 충돌 시 캡슐이 열렸고 내부 샘플 캡슐의 일부도 파손되었다.
2004년 9월 8일 샘플 반환 캡슐을 방출한 후, 우주선 본체는 지구-태양 라그랑주 점(L1)으로 되돌아갔다.[21] 2004년 11월 6일 궤도 수정 기동을 수행하여 우주선 본체가 장기 임무에 사용되지 않을 경우 L1을 떠날 수 있도록 했다. 2004년 12월 2일 우주선 본체에 마지막 명령이 전송되어 ''제네시스''는 휴면 상태에 들어갔다.[21] 우주선 본체는 2005년 2월 1일경 L1을 떠나 지구를 앞서는 태양 중심 궤도에 머물렀다.[22]
3. 1. 임무 개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2001년 8월 8일 16시 13분 40초(UTC)에 케이프 커내버럴에서 델타 II 7326 로켓으로 제네시스를 발사했다.[17] 발사 후 제네시스는 지구-태양 라그랑주 점(L1)까지 이동하여 2001년 11월 16일에 L1 주위의 타원 궤도에 진입했다.[17] 2001년 12월 3일부터 2004년 4월 1일까지 850일 동안 태양풍 입자를 수집했으며, 이 기간 동안 우주선은 L1 주변에서 5개의 헤일로 궤도를 돌았다.[17] 수집된 샘플을 보관한 샘플 반환 캡슐은 2004년 9월 8일 지구 대기권에 재진입했다.[18]탐사선의 궤도는 다음과 같다.
날짜 (미국 시간) | 사건 |
---|---|
2001년 8월 8일 |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에서 델타 II로 발사 |
2001년 12월 3일 ~ 2004년 4월 1일 | 태양과 지구 사이의 라그랑주 점(L1)에 머물면서 태양풍 채취 |
2004년 9월 8일 | 지구 재접근, 샘플 회수 캡슐 방출 (캡슐은 낙하산이 펴지지 않아 지면에 격돌) |
2005년 2월 1일 | L1 부근의 태양 주회 궤도에서 대기 상태 |
3. 2. 수집기
''제네시스''는 여러 종류의 태양풍 수집기를 탑재했는데, 이들은 모두 수동적으로 태양풍을 수집했다. 즉, 수집기는 태양을 향해 우주에 있었고, 태양풍의 이온은 200km/s 이상의 속도로 충돌하여 수집기 표면에 묻혔다.[10] 이러한 수동적 수집은 반도체 산업에서 특정 유형의 장치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과정과 유사하다.[11]대부분의 ''제네시스'' 수집기는 우주선이 마주치는 모든 태양풍("벌크 태양풍")을 지속적으로 샘플링했다. 그러나 우주선은 탑재된 전자 및 이온 모니터에 의해 결정되는 태양풍의 특정 "영역"(빠른, 느린, 코로나 질량 방출)이 발생했을 때 배치되는 세 개의 수집기 배열도 탑재했다.[12]
''제네시스''에는 세 번째 유형의 수집기인 농축기도 있었다. 이 농축기는 벌크 태양풍을 수집했지만, 정전기적으로 수소를 반발하고, 가벼운 태양풍 원소를 작은 표면에 집중시키는 충분한 전압을 가지고 있어, 해당 이온을 약 20배 농축시켰다는 점에서 차별적이었다.[13][14]
3. 3. 회수 단계
수집 단계가 완료된 후, 수집기 배열은 샘플 반환 캡슐에 보관되었고 우주선은 지구로 귀환했다. 캡슐이 지구에 접근하여 재진입 초기 단계에 접어들었을 때 모든 것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처럼 보였다.
캡슐 회수를 위해 광범위한 계획이 수립되었다. 일반적인 낙하산 착륙은 섬세한 샘플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임무 설계는 샘플 반환 캡슐의 공중 회수를 요구했다. 지상 약 33km 지점에서 드로그 낙하산을 펼쳐 하강 속도를 늦추도록 했다. 그런 다음 6.7km 고도에서 대형 파라포일을 펼쳐 하강 속도를 더욱 늦추고 캡슐을 안정적인 비행 상태로 유지하도록 했다. 그 후 두 번째 헬리콥터를 백업으로 한 헬리콥터가 5미터 갈고리 끝에 달린 낙하산으로 캡슐을 잡으려고 시도할 예정이었다. 회수되면 캡슐은 연착륙했을 것이다.
샘플 반환 캡슐은 2004년 9월 8일 16:55 UTC에 약 11.04km/s의 속도로 미국 북부 오리건주 상공에서 지구 대기권에 진입했다.[18] 감속 센서의 설계 결함으로 인해 낙하산 전개는 전혀 작동하지 않았고, 우주선의 하강은 자체적인 공기 저항에 의해서만 늦춰졌다.[19] 계획된 공중 회수는 수행될 수 없었고, 캡슐은 약 86m/s의 속도로 유타주 투엘 카운티의 듀그웨이 시험장 사막 바닥에 추락했다.
충돌 시 캡슐이 열렸고 내부 샘플 캡슐의 일부도 파손되었다. 속도를 감안하면 예상보다 피해가 덜 심각했다. 다소 부드러운 땅에 떨어져 완충된 셈이다.
낙하산 전개 시스템의 발사되지 않은 화공 장치와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유독 가스로 인해 회수 팀의 충돌 현장 접근이 지연되었다. 모든 안전 조치가 완료된 후, 손상된 샘플 반환 캡슐은 확보되어 검사를 위해 클린룸으로 옮겨졌고, 동시에 훈련된 인력팀이 현장을 샅샅이 뒤져 수집기 조각을 찾고, 향후 오염 가능성을 식별하기 위한 기준으로 삼기 위해 현지 사막 토양을 채취했다. 유타 시험 및 훈련장에서 ''제네시스'' 팀원들의 회수 노력에는 다양한 수집기 검사, 목록 작성, 포장 등이 포함되었으며 4주가 소요되었다.[20]
3. 4. 우주선 본체의 운명
2004년 9월 8일 샘플 반환 캡슐을 방출한 후, 우주선 본체는 지구-태양 라그랑주 점(L1)으로 되돌아갔다.[21] 2004년 11월 6일 궤도 수정 기동을 수행하여 우주선 본체가 장기 임무에 사용되지 않을 경우 L1을 떠날 수 있도록 했다. 2004년 12월 2일 우주선 본체에 마지막 명령이 전송되어 ''제네시스''는 휴면 상태에 들어갔다.[21] 이 "안전" 모드에서 우주선은 자체적으로 태양 전지판을 태양으로 향하게 하면서 상태 정보를 계속 전송했다. 우주선 본체는 2005년 2월 1일경 L1을 떠나 지구를 앞서는 태양 중심 궤도에 머물렀다.[22]4. 샘플 분석 및 결과
초기 조사 결과, 일부 웨이퍼는 충격으로 파손되었지만 대부분은 손상되지 않았다. 캡슐 내부로 사막 먼지가 유입되었지만, 액체 물은 유입되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태양풍 입자가 웨이퍼에 박혀 있고, 오염된 먼지는 표면에 있을 가능성이 높아 먼지를 샘플에서 분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23] 예상과 달리, 샘플 분석 과정에서 가장 문제가 된 것은 추락으로 유입된 지구의 사막 토양이 아니라 윤활유 및 우주선 건축 자재와 같은 우주선 자체의 화합물이었다.[24]
분석팀은 주요 과학 목표 대부분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2004년 9월 21일, 샘플 추출 작업이 시작되었고, 2005년 1월에는 알루미늄 웨이퍼의 첫 번째 샘플 조각이 분석을 위해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의 과학자들에게 보내졌다.[25]
NASA 존슨 우주 센터는 샘플 분석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과학계에서 수십 년 동안 깨끗한 태양풍 샘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네시스'' 태양풍 샘플을 장기간 보관할 것이다.[7]
4. 1. 불활성 기체
2007년, 워싱턴 대학교의 과학자들은 네온과 아르곤 동위원소에 대한 상세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26] 나머지 불활성 기체의 원소 및 동위원소 조성에 대한 결과는 2009년에 보고되었다.[27] 이 결과는 "젊은" (약 ) 태양풍을 포함하는 달 샘플의 데이터와 일치하며, 태양풍의 조성이 적어도 지난 년 동안 변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7]4. 2. 산소 동위원소
2008년 3월 10일, 연구팀은 ''제네시스'' 집광기에서 채취한 탄화규소 웨이퍼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에 따르면, 태양은 지구, 달, 화성, 그리고 대부분의 운석에 비해 산소-16(16O)의 비율이 더 높았다.[29][30] 이는 태양의 원시 행성계 원반에서 내행성과 소행성대가 형성되기 전, 알 수 없는 과정에 의해 산소-16이 약 6% 감소했음을 의미한다.[31]4. 3. 질소 동위원소
질소는 태양계 물질에서 동위원소 변화의 정도와 기원이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주요 표적 원소였다. 태양풍 질소의 $^{15}$N/$^{14}$N 비율은 2.18 x 10⁻³으로 나타났다(즉, 지구 대기에 비해 $^{15}$N이 약 40% 부족). 원시 태양 성운의 $^{15}$N/$^{14}$N 비율은 2.27 x 10⁻³로, 태양계 물체에서 알려진 가장 낮은 $^{15}$N/$^{14}$N 비율이다. 이 결과는 태양계 초기의 극심한 질소 동위원소 이질성을 보여주며, 태양계 저장소에서 관찰된 $^{15}$N 고갈 성분을 설명한다.[32]5. 사고 조사 위원회 (MIB)
NASA는 화약, 항공 전자 공학 및 기타 전문 분야의 전문가 16명으로 구성된 사고 조사 위원회(MIB)를 임명했다. MIB는 2004년 9월 10일 더그웨이 시험장에서 업무를 시작했으며, 존슨 우주 센터에서 관리할 과학 장비는 모두 반출될 수 있다고 결정했다. 제트 추진 연구소(JPL)와 록히드 마틴은 MIB를 위해 비행 데이터 및 기타 기록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2004년 9월 20일, MIB는 과학 물질을 제거한 캡슐을 콜로라도주 덴버 인근의 록히드 마틴 우주 시스템 시설로 옮길 것이라고 발표했다.[33]
2004년 10월 14일, 낙하산 전개 실패의 첫 번째 원인이 보도 자료를 통해 발표되었다. 록히드 마틴은 가속도 센서의 내부 메커니즘이 잘못된 방향으로 설치된 시스템(G-스위치가 거꾸로 설치됨)을 설계했으며, 설계 검토 과정에서 이 실수를 발견하지 못했다. 가속도계는 잘못된 설계에 따라 설치되었다. 의도된 설계는 3g-force에서 센서 내부의 전기적 접촉을 만들고, 예상 최대 30g-force까지 이를 유지하며, 3g-force에서 다시 접촉을 끊어 낙하산 전개 시퀀스를 시작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접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34]
2006년에 성공적으로 착륙한 ''스타더스트'' 혜성 샘플 반환 우주선에도 동일한 낙하산 개념이 사용되었다.
NASA 조사 위원회 의장 마이클 리쉬케비치는 NASA의 엄격한 검토 절차에서 실수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것을 혼동하는 것은 매우 쉬웠을 것"이라고 말했다.[35]
이 사고는 에드워드 A. 머피 주니어가 현재 유명한 머피의 법칙을 공식화하도록 영감을 준 원래 사건과 유사하다. 가속도계가 거꾸로 설치된 것이다.[36] 2006년 1월 6일, 리쉬케비치는 록히드 마틴이 우주선에 대한 사전 테스트 절차를 건너뛰었으며, 이 테스트로 문제를 쉽게 감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37]
참조
[1]
웹사이트
Genesis: In Depth
https://solarsystem.[...]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2023-09-25
[2]
웹사이트
Genesis: In Depth
https://solarsystem.[...]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2020-02-02
[3]
웹사이트
Genesis
https://nssdc.gsfc.n[...]
NASA Space Science Data Coordinated Archive
2020-02-02
[4]
서적
Beyond Earth: A Chronicle of Deep Space Exploration, 1958–2016
https://www.nasa.gov[...]
NASA History Program Office
[5]
문서
The NASA Stardust (spacecraft)|''Stardust'' mission launched two years before ''Genesis'', but did not return to Earth until two years after ''Genesis'''s return.
[6]
웹사이트
Genesis Solar Wind Samples
https://curator.jsc.[...]
NASA/JPL
[7]
논문
Solar Wind Conditions and Composition During the Genesis Mission as Measured by in situ Spacecraft
2013-06
[8]
웹사이트
Genesis Science Team
http://genesismissio[...]
NASA/JPL
[9]
웹사이트
Genesis Discovery 5 Mission Proposal
http://web.gps.calte[...]
NASA/JPL
[10]
논문
The Genesis Discovery Mission: Return of Solar Matter to Earth
2003-01
[11]
웹사이트
The Stopping and Range of Ions in Matter
http://www.srim.org
[12]
논문
The Plasma Ion and Electron Instruments for the Genesis Mission
2003-01
[13]
논문
The Genesis Solar Wind Concentrator
2003-01
[14]
간행물
Elemental Fractionation Processes in the Solar Wind Revealed by Genesis Solar Wind Regime Samples
https://www.lpi.usra[...]
2013-03
[15]
보도자료
Diamond-like Films Help In Study Of Solar Winds
https://www.scienced[...]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2009-02-16
[16]
논문
The Genesis Solar-Wind Collector Materials
2003-01
[17]
보고서
Genesis failure investigation report: JPL Failure Review Board, Avionics Sub-Team
Jet Propulsion Laboratory
2004-07
[18]
웹사이트
Genesis: Mission History
http://genesismissio[...]
NASA/JPL
2009-09-03
[19]
서적
Genesis Mishap Investigation Board Report: Volume 1
https://www.nasa.gov[...]
NASA
2010-05-01
[20]
보고서
Genesis Recovery Processing
http://research.jsc.[...]
NASA/JSC
[21]
웹사이트
Genesis science "a work in progress"
https://genesismissi[...]
NASA
2012-11-30
[22]
웹사이트
Genesis spacecraft bus flies solo
https://genesismissi[...]
NASA
2012-11-30
[23]
웹사이트
Salvaging Genesis Solar Wind Sample Science
https://curator.jsc.[...]
NASA
2023-12-06
[24]
논문
Crashed spacecraft yields data
2007-10-18
[25]
보도자료
NASA Sends First Genesis Early-Science Sample to Researchers
https://www.nasa.gov[...]
NASA
2006-04-24
[26]
논문
Constraints on Neon and Argon Isotopic Fractionation in Solar Wind
2007-10-18
[27]
논문
Noble gas composition of the solar wind as collected by the Genesis mission
2009-12
[28]
보도자료
NASA Announces Key Genesis Science Collectors In Excellent Shape
https://www.nasa.gov[...]
NASA
2006-04-24
[29]
웹사이트
Department Directory: Kevin D. McKeegan
http://www.ess.ucla.[...]
UCLA Department of Earth and Space Sciences
2010-06-26
[30]
논문
The Oxygen Isotopic Composition of the Sun Inferred from Captured Solar Wind
2011-06
[31]
논문
The Solar System's first breath
2008-03-13
[32]
논문
A 15N-Poor Isotopic Composition for the Solar System As Shown by Genesis Solar Wind Samples
https://hal.archives[...]
2011-06-24
[33]
보도자료
Genesis Mishap Investigation Board Status Report #1
https://genesismissi[...]
NASA
2014-05-19
[34]
뉴스
Genesis crash linked to upside-down design
https://www.newscien[...]
2004-10-15
[35]
논문
Flawed drawings caused spacecraft crash
2004-10-18
[36]
뉴스
'Murphy''s Law' rules outer space... And NASA still needs to learn how to evade it
https://web.archive.[...]
NBC News
2004-10-21
[37]
뉴스
Official: Genesis Pre-Launch Test Skipped
http://www.space.com[...]
Space.com
2006-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